국민건강보험공단 가입대상과 이용방법 및 The건강보험 앱을 설치하자
국민건강보험공단(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, NHIS)은 건강보험제도의 보험자로서, 국민의 예방·진단·치료·재활·출산·사망 및 건강증진을 위한 보험급여를 수행하고 장기요양보험 업무까지 담당하는 준정부기관으로 “건강한 국민, 건강한 삶”이라는 비전 아래 보험·검진·예방·요양 전 분야에서 국민 보건 향상과 사회보장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
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|
국민건강보험공단 주요 서비스
1. 건강보험 서비스
보험료 조회 및 납부 : 본인 및 가족의 보험료를 확인하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.
자격득실확인서 발급 : 건강보험 자격의 취득 및 상실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보험료 환급 신청 : 과납부된 보험료에 대한 환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2. 건강iN
건강검진 및 진료내역 조회 : 본인 및 가족의 건강검진 결과와 진료 및 투약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건강나이 및 질병 발생 위험 예측 : 건강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나이와 주요 질환의 발생 위험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.
건강 알람 서비스 : 주요 질환에 대한 지역별 위험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.
건강 기록 관리 : 혈압, 혈당 등의 건강 정보를 직접 기록하거나 기기와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.
3. 장기요양보험
인정신청 및 등급판정결과 조회 : 장기요양 인정신청 및 등급판정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서비스 이용 내역 확인 : 재가급여 서비스 이용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장기요양기관 정보 제공 : 장기요양기관의 위치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
상담 이용안내 |
가입 대상 및 보험료 부과
대상: 국내 거주 모든 국민 및 외국인
구분
직장가입자: 월급여액 × 보험료율
지역가입자: 소득·재산·자동차 등에 따른 점수제
보험료율 예시
전체율: 7.09% (직장·지역 동일, 2년 연속 동결)
직장가입자 부담: 근로자 3.545% + 사업주 3.545% (합계 7.09%)
지역가입자 재산보험료 부과점수당 금액: 208.4원(동결)
장기요양보험료율: 0.9182% (건강보험료에 추가 부과)
보험급여 범위
진료비 지원 : 입·외래, 처방조제, 검사·방사선·의료장비 등
재활·요양 : 물리치료, 보장구 지원
출산·건강증진 : 산전·산후 관리, 예방 접종
장기요양: 신체활동·가사지원 등 요양급여
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|
가입·급여 신청 절차
가입 : 직장가입자는 사업장 등록 시, 지역가입자는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지사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
보험료 납부 : 직장가입자는 급여공제, 지역가입자는 고지서 납부(자동이체 가능)
보험급여 신청 : 진료 후 요양기관이 공단에 청구
건강검진 : 모바일·우편 안내 후 예약·실시
온라인 민원 서비스
자격득실확인서, 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각종 증명서 발급
보험료 조회 및 납부, 환급금 조회 및 신청
진료 내역 조회, 건강검진 결과 확인
장기요양보험 관련 서비스 : 인정신청, 등급판정결과 조회, 재가급여 내역 확인 등
국민건강보험공단 이용방법
온라인 서비스 :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정보 조회 및 서비스 이용 가능
전화 상담 : 건강보험 관련 문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(1577-1000)를 통해 상담
방문 상담 : 가까운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를 방문하여 직접 상담 및 서비스 이용
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홈페이지 접속하기 |
모바일 앱 : The건강보험
iOS 및 Android 버전 모두 제공
민원여기요 : 팩스 전송을 통한 증명서 제출 지원
건강iN : 건강검진, 진료 및 투약 내역 조회, 건강 알람 서비스 등
장기요양보험: 인정신청, 등급판정결과 조회 등
고객센터 : 문의 및 불편사항 해결, 수어 상담 서비스 등
모바일 앱 : The건강보험 |
‘The건강보험’ 모바일 앱
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공식 모바일 앱으로, 스마트폰으로 민원과 건강 관리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
주요 기능
민원여기요 : 자격득실·보험료 납부 확인서 등 증명서 팩스 발송, 납부·환급 내역 조회
건강iN : 가족 건강검진·진료·투약 내역 확인, ‘건강나이’·질병 위험도 제공, 혈압·혈당 등 기록 가능
장기요양보험 : 장기요양 인정 신청, 등급 확인, 재가급여 내역
고객센터 : 채팅·수어 상담, 국민 제안·토론방, 부당 청구 신고
기타 : 다양한 인증 방식(공동·금융·건강보험), 건강알림 위젯, 퀵액션 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