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방법과 계산방법을 알아보자

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지며, 개인의 가입 기간, 월 소득, 연금 보험료 납부액에 따라 계산하며, 국민연금은 기본적으로 소득이 있을 때 의무적으로 가입하며, 은퇴 후 일정 나이(보통 만 60세 이후)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
 

국민연금 예상수령액
국민연금 예상수령액


국민연금 예상수령액 계산방법
가입 기간
국민연금에 가입한 기간이 길수록 수령액이 증가합니다.
최소 10년 이상 가입해야 연금을 받을 수 있으며, 더 오랜 기간 동안 납부할수록 더 많은 금액을 수령합니다.

평균 소득
가입 기간 동안의 월평균 소득이 중요합니다. 
월 소득이 높을수록 더 많은 연금을 받을 수 있습니다.

연금 보험료 납부액
월 소득의 9%를 연금 보험료로 납부하게 되며, 이 중 4.5%는 개인이 부담하고 나머지 4.5%는 회사가 부담합니다.

예상수령액 예시
만약, 20년 동안 평균 소득이 250만 원이라면, 매달 약 50~60만 원 정도의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가입 기간이 30년 이상이고 평균 소득이 400만 원인 경우, 매달 약 100만 원 이상을 받을 수 있습니다.



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공식

1. 가입 기간 (연 단위)

예: 20년, 30년 등

2. 가입 기간 동안의 평균 소득월액

예: 매월 낸 보험료의 기준이 되는 소득평균

3. 기본연금액 산정

기본연금액 = 가입 기간 비율 × 가입 기간 × 평균소득월액 × 0.012

가입 기간 비율: 최대 1 (40년 기준)

예: 20년 가입 시 20/40 = 0.5

예: 30년 가입 시 30/40 = 0.75

0.012는 국민연금 산정 공식 상수


예시 계산

가입 기간 : 30년

평균 소득월액 : 200만원

기본연금액 = 0.75 × 30 × 200만원 × 0.012

= 0.75 × 30 × 2,000,000 × 0.012

= 0.75 × 30 × 24,000

= 0.75 × 720,000

= 540,000원

즉, 월 약 54만원을 수령할 수 있다는 예상입니다.


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
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


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방법

▶ [공식 홈페이지 이용]
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


개인서비스 → 예상연금조회

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간편인증(카카오·KB 등) 로그인 필요

예상연금액 확인 가능

현재 기준 납부 이력 기반 자동 계산

60세, 65세 등 수령 나이에 따른 차이 확인 가능


모바일 앱 ‘내 곁에 국민연금’ 사용

구글플레이, 앱스토어에서 "내 곁에 국민연금" 검색 후 설치

로그인 후 예상수령액 바로 확인 가능


App Store에서 제공하는 내 곁에 국민연금

내 곁에 국민연금 - Google Play 앱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법인용 자동차보험 가입 시 유의사항 및 팁과 특징을 알아보자

메리츠증권 연금저축계좌 개설방법과 특징 및 장점을 알아보자

​테슬라 인증 중고차 특징과 구매방법 및 주의사항을 알아보자